지구 환경 보호, 탄소 절감, Green 산업 발전 등으로 인해 주목 받고 있는 대체 단백질 (예: 대체육 / 대체유)의 개요와 관련 주요 기술/Tech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대기업/식품 기업들이 투자 및 연구 확대가 지속되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향후 발전이 전망 됩니다.
출처: Pixabay
목차
대체 단백질 (aLternative protein) 정의
전통적 동물/가축의 사육을 통해 얻은 단백질이 아닌, 식물성 원료, 발효 및 세포 배양 등의 기술을 통해 생산한 단백질이며 주로 대체육, 대체유 등에 활용 중인 것을 의미합니다.
등장 배경
기존 축산/농업의 생산 및 가공·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온실가스(GHG)로 인한 환경 문제 해결 대안 필요 ※ Global GHG 배출원 중 Agri-Food 관련 항목 20% 상회 한다는 의견 존재
인구/소비 증가로 인해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농축산 면적 지속 확대의 어려움 및 물 부족 등으로 전통 방식으로는 확대 되는 수요에 준하는 공급 확대 제한 ※ 현재 80억명 수준의 세계 인구는 2050년이면 100억명 이상 될 것으로 전망 ※ 소고기 1kg을 생산하는데 약 물 4만 리터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음 (곡물 대비 고기 생산에 대량을 물 필요)
친환경, 건강한 먹거리, 동물 복지 등에 대한 관심 확대 및 가치 소비 Trend의 확대
Alternative Protein은 ESG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식품 시장의 Pain Point 완화 가능
주요 기술/tECH
식물육 (Plant Based Meat)
대두 등 식물성 원료를 기반으로 TVP (Textured Vegetable Preotein)이라는 식감/질감을 담당하는 중간재료에 Oil 등 각 종 첨가제, 결합제, 향료 활용하여 일반 고기와 유사한 형태 제품 생산
오래전부터 Vegan 음식으로 활용되어 오며 대체 단백질 영역 중 가장 상업화 되어 시장을 확보 중인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