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미장 마감 후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엔비디아 실적 관련 뉴스부터 확인하게 되었는데요.
이번 엔비디아 실적은 단순한 개별 기업의 이슈가 아니라 AI 시장 전체 흐름에 영향을 미칠 만큼 중요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엔비디아 실적에 주목했고, 전반적으로 기대 이상이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미국 증시에 어떤 흐름을 가져올지,
앞으로의 방향도 더욱 궁금해지는 상황입니다.
오늘은 엔비디아 실적과 연관된 세 개의 영상을
초보자의 시선으로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출처 정보
- 영상 제목: 엔비디아 실적발표 분석
-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L2pr_J40754
- 출처: 엔비디아 실적발표 회의 요약
- 기준일: 2025년 11월
📝 주요 내용
엔비디아의 성장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이번 분기 매출은 570억 달러로 작년 대비 무려 62% 성장했고, 영업이익률은 제조업에서 보기 드문 **73.4%**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젠슨 황 CEO는 이번 발표에서 AI 산업이 단순 유행이 아닌 **’구조적 전환기’**임을 강조했습니다.
- 기존 CPU 중심에서 GPU 중심으로의 전환
- 생성형 AI의 확산
- 스스로 판단하는 **’에이전트(Agent) AI’**의 등장
차세대 칩인 ‘블랙웰’과 ‘루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이라, 향후 5,000억 달러 매출까지도 바라보고 있다는 전망입니다.
💡 [초보 탈출] 배경지식 더하기
- 데이터센터가 왜 중요할까?: 우리가 쓰는 챗GPT 같은 AI는 일반 컴퓨터가 아니라, 엔비디아 GPU 수만 개가 연결된 거대한 ‘데이터센터’에서 돌아갑니다. 즉, AI가 똑똑해질수록 엔비디아 칩은 더 많이 필요합니다.
- 선주문(Pre-order)의 의미: 마이크로소프트나 오픈AI 같은 기업들이 칩을 받기도 전에 돈부터 내고 줄을 서 있습니다. 이는 “수요가 공급보다 훨씬 많다”는 뜻으로, 실적이 꺾이기 어렵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출처 정보
- 영상 제목: 엔비디아 실적 속보 & 정책 분석
-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psKZNp9fEyg
- 출처: 매경 월가월부
- 기준일: 2025년 11월
📝 주요 내용
정치적인 환경도 엔비디아에게 유리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주(State) 정부마다 다른 AI 규제를 없애고, 연방 차원에서 규제를 완화하려 합니다. 이는 AI 인프라를 확장해야 하는 엔비디아에게 긍정적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젠슨 황이 **’팔란티어(Palantir)’**가 엔비디아 생태계를 채택했다고 콕 집어 언급한 것입니다. 이는 “AI는 실체 없는 거품”이라고 공격하던 공매도 세력에게 “우리 생태계는 이렇게 튼튼해”라고 우회적으로 반박한 셈입니다. 또한,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중국 매출을 ‘0’으로 가정해도 성장에는 문제없다는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
💡 [초보 탈출] 배경지식 더하기
공매도(Short Selling)란?: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판 뒤, 나중에 싼값에 사서 갚아 차익을 남기는 전략입니다. 공매도 세력이 많다는 건 “이 주식은 지금 너무 비싸(거품이야)”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인데, 엔비디아는 실적으로 이를 증명해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정보
- 영상 제목: 엔비디아 실적발표 이후 시장 반응
-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oIcw-Cf7y6U
- 출처: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 기준일: 2025년 11월
📝 주요 내용
보통 기업은 덩치가 커지면 성장 속도가 느려집니다. 이를 경제학에서 **’대수의 법칙’**이라고 하는데요. 엔비디아는 거대한 규모임에도 성장률이 오히려 높아지는 기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 전체를 보면 불안 요소도 있습니다.
- 연준(Fed)의 고민: 고용지표 발표가 늦어지면서 금리를 내릴지 말지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졌습니다.
- 소비 둔화: 미국의 대도시 물가가 오르고 유통 기업들의 실적이 좋지 않습니다. 지갑을 닫고 있다는 뜻이죠.
💡 [초보 탈출] 배경지식 더하기
- 왜 금리가 중요할까?: 금리가 높으면 기업들이 돈을 빌려 투자하기 부담스러워집니다. 기술주(성장주)는 미래를 위해 투자를 많이 해야 하므로, 금리 인하 소식은 보통 주가 상승의 호재로 작용합니다.
🧠 초보 투자자를 위한 핵심 용어 정리
| 용어 | 설명 |
|---|---|
| 가이던스 (Guidance) |
기업이 스스로 예상하는 ‘다음 분기 성적표’를 의미합니다. 실적이 좋아도 가이던스가 낮으면 주가가 하락하기도 합니다. |
| 매출총이익률 (Gross Margin) |
제품을 판매하고 남는 마진율입니다. 엔비디아는 70%대 높은 마진률을 유지하고 있어 하드웨어 기업 중에서도 이례적입니다. |
|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
원래는 게임 그래픽을 처리하는 장치였으나, 현재는 AI 모델 학습·추론을 담당하는 ‘AI의 두뇌’ 역할을 합니다. |
| CUDA (쿠다) |
엔비디아 GPU를 AI 개발에 최적화해주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입니다. 개발자들이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어 엔비디아 생태계의 핵심 역할을 합니다. |
| 에이전트 AI (Agentic AI) |
단순 응답을 넘어,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도구를 사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진화된 형태의 인공지능입니다. |
| 연준 (Fed) |
미국의 중앙은행(Federal Reserve)입니다. 한국은행과 역할이 비슷하며 금리 결정 및 통화정책을 담당합니다. |
🪶 마치며
오늘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공부하며 느낀 건,
AI 산업의 성장 속도가 정말 빠르다는 점입니다.
뒤늦게 경제 공부를 시작한 늦깎이 신입생이지만
이렇게 하나씩 정리하다 보니 흐름이 조금은 보이는 것 같습니다.
오늘 정리가 여러분의 공부에도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함께 성장하는 하루 보내세요!
